존 케이지 – 침묵은 또 다른 시작 계절과 계절 사이에는 환절기가 있고, 악장과 악장 사이에는 다음을 준비하는 시간이 숨 고르기가 있다. 우리 삶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 시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한 사유 또한 기다림이 필요하지 않을까? 확고한 의지로 본인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고자 최선을 다했다는 60대 가장, 충분히 예전처럼 일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건 단지 그의 생각일 뿐, 회사의 입장은 확연히 달랐다. 퇴직 후 그동안 하고 싶었던 일에 대한 설레임은 생각일 뿐, 현실로 다가온 달라진 일상에서 나를 위한 시간을 가진다는 것은 사치처럼 느껴졌고, 가장으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한 무기력함과 공허가 자리했다. 아직 대학생인 아이의 뒷바라지며 노모의 생활비 등 걱정할 것이 많다는 그와 함께 음악을 듣고 이야기를 나누고자 내가 건넨 곡은 현대 음악 작곡가 존 케이지(John Cage)의 <4분 33초>이다. 무대에 등장한 연주자는 피아노를 앞에 두고 4분 33초 동안 어떤 건반도 두드리지 않고 퇴장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악보에는 '침묵'을 뜻하는 음악 용어 'TACET(연주하지 말고 쉬어라)'이 적혀 있다. 악장도 나뉘어 있어 1악장부터
■ 참가 부문: [전공부문] - 피아노(솔로, 반주, 듀엣), 관현악, 성악, 작곡, 중창(10인 이하), 실내악 [비전공부문] - 전공 부문과 동일 ■ 접수 마감: 2025년 12월 12일 (금) 18:00까지 ■ 대회 장소: 서초아트센터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 349-5 비본데이즈빌딩 지하1층) ■ 참가 대상: 전공 - 유·초등·중·고등·대학(원)·일반부 비전공 - 전공부문과 동일 + 실버부문(만 58 - 65세 이하) ■ 참 가 곡: 자유곡 (전공생 경우 2곡 연주 가능) ※작곡: 이메일 접수 ※피아노 반주: 기악 반주 (소나타, 2개 악장), 성악 반주 (가곡 2곡, 언어 무관) ※피아노 듀엣: 1 Piano 4 Hands ■ 혜 택: 1. 참가자 전원 1) 심사 평가지 2) 기념품 3) 연주 영상 4) 신문사 주관 국내외 마스터 클래스 지원 시 20% 장학 혜택 5) 신문사 주관 국내외 리사이틀 지원 시 20% 장학 혜택 2. 수상자 ※ 참가자 혜택 (기본) 1) 상패 (대상/금상) 2) 상장 (모든 수상자) 3) 대한민국예술신문 인터뷰 기사 송출 (희망 시) 3. 우수 수상자 1) 해외 초청 연주회 (홀: 일본 후쿠오카 FCH) (희망자에 한함)
브루흐 – 가을, 비올라 그리고 그녀 서늘한 바람에 책장을 넘기며 흔들리는 마음을 어루만지고 싶은 계절이 다가온다. 발걸음은 자연스레 서점을 향하고, 내면을 향한 진지한 대화를 준비할 책 한 권을 고른다. 바람이 반주해주고 마음이 속삭이는 대로 흥얼거리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고등학교 시절 친구를 우연히 만났다. 30년이란 세월이 흘러 한눈에 알아보기는 힘들었지만, 활짝 웃을 때 미소 짓는 표정에서 그녀임을 확신했다. 우리는 반가운 인사를 건네며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지만, 서로 다음 일정이 있었던 이유로 연락처를 주고받아야만 했다. 아쉬움 가득한 순간을 품고 돌아서는 발걸음에 아련함이 잦아든다. 공부를 특별히 잘하거나 다른 재능이 있어 돋보였던 것도 아닌데, 왠지 모를 존재감이 있었던 그녀. 조금 더 친하게 지내고 함께 모둠도 하고 싶었지만,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던 그녀를 떠올리며... 잠깐 스쳤던 순간이 나의 하루를 설레게 했던 그 날의 음악을 들어 본다. 따뜻한 미소, 부드러운 말투, 그리고 그 속에 흐르는 단단함이 느껴지는 그녀와 닮은 곡은 바로 막스 브루흐(Max Bruch, 1838-1920)의 <Romance for Viola
에릭사티 – 반복 속에 담긴 간절함 부모에게는 아이의 탄생만으로도 무한한 사랑을 깨닫게 하는 축복이 된다. 태어난 아이가 옹알이를 시작할 때 그들의 얼굴에는 자연스레 함박웃음이 피어나고, 같은 소리를 수백 번 수천 번 계속해도 미소는 한결같다. ‘엄마’라는 단어를 말하기까지 그들은 얼마나 많은 반복과 연습이 있었을까? 그의 부모님도 다르지 않았다. 오랜만에 찾아뵌 부모님과 따뜻한 시간을 기대한 그는, 끊임없는 회상으로 반복되는 옛이야기의 지루함을 견디다 못해 어머니께 화낸 일을 떠올린다. 자신의 행동을 바꾸기 쉽지 않아 힘들다고 찾아온 분을 상담으로 만나게 된 오늘. 마흔을 갓 넘긴 나이의 그는 쳇바퀴 돌 듯 비슷한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부모님과 갈등이 계속되었다. 좋은 마음으로 다가간 만남이 피로감으로 쌓여버린 날들을 떠올리며 얼굴을 찌푸린다. 사랑하는 마음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해 속상한 그와 함께 들어본 곡은 에릭 사티(Erik Satie, 1866-1925)의 <벡사시옹(Vexations)>이다. ‘짜증’(Vexations)이라 해석할 수 있는 이 곡을 작곡한 에릭 사티는 몇 가지 기행(奇行)으로도 유명하다. 몽마르트르의 카바레에서 피아노를 치
계절이 바뀔 때쯤이면 우리는 묘한 감정을 느끼곤 한다. 햇볕은 여전히 여름을 기억하게 하지만, 바람결엔 가을의 향기가 전해지는 듯하다. 내면을 들여다보기에 좋은 시간. 소위 ‘가을을 탄다’, ‘계절을 탄다’라는 말로 우리의 멜랑콜리(Melancholy -우울 또는 비관주의에 해당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를 설명하려 한다. 요즘 여러분의 마음은 어떠한가요? ‘탄다’는 ‘어떤 감정이나 상태를 타고 흐른다’ 또는 ‘정서에 영향을 받는다’라는 뜻으로 확장 해석할 수 있다. 사람의 마음도 계절처럼 변한다. 오늘의 공허가 내일의 설렘으로 이어지고, 어제의 상처가 불현듯 되살아나기도 한다. 그러한 내적 파동 속에서 늘 흔들리며 살아가고 있는 우리, 이 흔들림을 가만히 받아들일 때 음악은 언어보다 더 깊은 위로가 되어 다가오나 보다. 얼마 전 갑작스러운 사고로 다리를 다친 60대 건장한 청년 같은 중년을 만난 오늘, 그와 함께 삶의 의미를 묻고 답해보는 시간을 가진다. 평소 건강에 대해서는 자신감으로 충만한 그였지만, 생각지 못한 골절로 몇 주간 깁스하면서 자신을 새롭게 바라보게 되었다고 한다. 그 사유(思惟) 안에서 느낀 몇 가지의 감정, 그리고 잘한 것보다 잘못한 것
[대한민국예술신문] 한국피아노앙상블협회가 2026년을 함께 만들어갈 정회원을 모집한다. 단순한 회원 모집이 아니라, 반주 전공자와 솔리스트가 음악적 교감을 나누고, 서로의 소리를 통해 새로운 울림을 만들어가는 무대에 초대하는 것이다. 한국피아노앙상블협회는 반주전공자와 상주솔리스트음악가로 구성된 국내 유일한 단체이다. 2026년을 맞이하여 4회의 정기연주회와 프로젝트 연주를 앞두고 있는 신선하고 젊은 단체이기도 하다. 최근 8월에 열렸던 정기연주회에서는 이화여대 반주과 교수 ‘피오트르 쿠프카’ 교수의 초청연주로 화려하고 멋진 연주를 하였다. 많은 관객과 호평을 받았고, 특히 대한민국예술신문의 협력과 후원을 받아 연주자들이 좀 더 연주를 편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대표 고유미는, “피아노는 혼자서도 아름답지만, 누군가의 호흡과 만나면 더 큰 감동을 선사한다”며, “이번 모집은 젊은 연주자들이 솔리스트와 함께 성장하고, 음악적 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라고 전했다. 협회 임원진(김수연ㅣ김현진ㅣ문서정ㅣ최수아)들은 “피아노 한 음 한 음이 다른 악기, 성악과 만나 새로운 울림을 만들어낼 때,
■ 25년 9월 20일 콩쿠르 입상자를 위한 해외 수상자 연주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신청서는 제일 아래 첨부문서에 있습니다! 1. 해외 연주회 일정 : 2026년 2월 6일 금요일 오후 6시 -10시 (잠정) 2. 대상 : 수상자 중 희망자 및 지정자 00명 3. 장소 : 후쿠오카 FCH (Fukuoka Civic Hall) 4. 접수 : 아래 세부 사항 참조 ------------ < 세부 사항 > ------------ 1. 지원 규정 1) 대상 수상자 : 항공비, 연주홀비 전액 신문사에서 지원 2) 부문별 1위 수상자 : 연주홀비 100% 신문사에서 지원 (개인 부담 0%) 3) 부문별 2위 수상자 : 연주홀비 40% 신문사에서 지원 (개인 부담 60%) 4) 부문별 3위 수상자 : 연주홀비 30% 신문사에서 지원 (개인 부담 70%) 2. 연주홀비 책정 규정 1) Main Hall (1) 금액: 1인당 50만원 (2) 총연주 인원: 15명 내외 (잠정 예상) 2) Small Hall (1) 금액: 1인당 40만원 (2) 총연주 인원: 15명 내외 (잠정 예상) 3. Main Hall, Small Hall 배정 규정 : Main Ha
2025 대한민국예술신문 음악콩쿠르 Artium Musicae Awards 개최 결과 ■ 경연 결과 안내 전체대상 : 튜바 성동훈 (서울대학교 3학년 재학 중) I 관악부문 I 초등부 [비전공 플롯부문] 2등 김유림 I 현악부문 I 초등부 [비전공 바이올린 부문] 2등 최은우, 권서영 3등 김준우 [전공 비올라 부문] 2등 오다윤 중등부 [전공 비올라 부문] 3등 박시연 [전공 첼로 부문] 1등 안우인 고등부 [전공 바이올린 부문] 2등 안규림 [전공 첼로 부문] 2등 한서영 I 피아노부문 I [반주 부문] 2등 윤대현, 박선영 3등 송한나, 김지현, 신현모 초등부 [비전공 독주 부문] 저학년(1~3학년) 2등 백승헌, 조윤현 3등 김강빈 고학년(4~6학년) 2등 주하윤, 조유준 3등 이재이, 방윤호, 김은성 [전공 독주 부문] 고학년(4~6학년) 1등 강요한 3등 장서희 중등부 [전공 독주 부문] 3등 이지안 I 성악 부문 I 초등부 [비전공 부문] 저학년(1~3학년) 1등 이하윤 2등 이서윤, 김지은 3등 방승호 고학년(4~6학년) 2등 박연우 3등 장우정 [전공 일반부] 2등 전채인 3등 김예지 [비전공 일반부] 2등 손승헌 3등 김영선 [비전공 실버부
스메타나 현악 4중주 1번 – 불안 속에서 찾은 삶의 선율 우리는 고통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을 어떻게 마주할지에 대한 자유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불안과 상실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살아온 시간에 대한 의미를 한 번쯤 되짚어보게 된다. 오늘 만난 분이 바로 그러했다. 30대 후반, 평범한 직장인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그는 언제부터인가 회사에서 남들의 작은 행동에도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고, 집에서는 아이의 사소한 말투까지 분석하고 살피다 보니 늘 긴장의 연속이었다 한다. 스트레스가 얼마나 심했던지, 지난달부터는 이명현상으로 고생하면서 자신을 돌봐야 한다는 생각이 더욱 들었다며…. 무엇보다 일상이 무너질 것 같은 예감이 자주 드는 요즘 ‘자꾸만 불길한 생각이 드네.’라며 어두운 그림자가 하루를 채운다는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삶의 무게를 초과한 신호임을 알아차린 그는, 자신을 위한 휴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에게 추천하고 싶은 곡은 베드르지흐 스메타나(Bedrich Smetana)의 현악 4중주 1번 E단조 ‘나의 생애로부터’(String Quartet No. 1 in E minor ‘From My Life’)이다. 스메타나는 1824년
2026 대한민국 眞心예술대상 시상식 개최 - 2월 22일 (일) 오후 3시, 서울올림픽파크텔 대한민국예술신문은 ‘진정성 있는 예술활동’을 실천해온 기관과 개인을 격려하기 위해 2025 대한민국 眞心예술대상 수상자를 공모한다. 眞心예술대상은 각자의 자리에서 성실히 예술창작 활동에 헌신해 온 이들을 조명하면서 예술현장을 빛낸 이들을 발굴하여 널리 알리고, 우리 예술의 미래 성장 동력을 함께 만들어가기 위해 마련된 상이다. 이번 시상은 ▲리더십 및 경영우수 ▲예술성과 창의성 ▲지역사회 및 사회적 공헌 ▲국내외 예술 경쟁력 등 4개 분야로 구성되며, 예술 리더십, 창작 혁신,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항목에서 평가가 이루어진다.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상패, 언론 인터뷰 기사, 기념품 등이 제공되며, 특히 공식 SNS와 계열 언론 보도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상식에는 국회의원, 교육관료, 예술인 등 각계각층의 주요 인사가 함께할 예정이다. 신청 마감: 2026년 1월 23일(금) 최종 심의: 2026년 1월 30일(금) 시상식 일정: 2026년 2월 22일(일) 오후 3시, 서울올림픽